의학용어 THR, DSA, AST, ASA, APCT, ACS, ACL, APT 정리

의학용어 THR, DSA, AST, ASA, APCT, ACS, ACL, AP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의학용어는 의학과 관련된 용어로, 의학 전문가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거나 의학적인 사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의학용어는 한글, 영어, 라틴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의 단어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의학용어는 의학 분야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의학용어 THR, DSA, AST, ASA, APCT, ACS, ACL, APT 정리

THR: 인공고관절치환술

THR은 Total Hip Replacement의 약어로, 인공고관절치환술을 의미합니다. 인공고관절치환술은 고관절의 관절면을 인공적인 재료로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의 연결부로, 인체에서 가장 큰 관절입니다. 고관절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절, 감염, 종양 등의 원인으로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때 인공고관절치환술을 통해 고통을 줄이고, 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인공고관절치환술은 전체적으로 관절을 교체하는 전치환술과 부분적으로 관절을 교체하는 부분치환술로 나뉘며, 인공관절의 재료는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이 있습니다. 인공고관절치환술은 수술 전후에 적절한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 후에는 재활치료를 통해 관절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DSA: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DSA는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의 약어로,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을 의미합니다.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혈관에 혈관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을 이용하여 혈관의 모양과 혈류의 상태를 촬영하는 검사입니다. 혈관 조영제는 혈관 내부를 밝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X-선은 혈관 외부의 조직을 흑백으로 표시합니다.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혈관 외부의 조직을 제거하고, 혈관 내부만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혈관의 협착, 폐쇄, 파열, 기형, 혈전, 동맥류 등의 질환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데 유용한 검사입니다.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혈관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혈관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는 과정을 거치며, 검사 전후에 적절한 준비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AS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

AST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의 약어로,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를 의미합니다.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는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 주로 심장과 간에 존재하며, 신장과 근육에도 소량 존재합니다. 간이나 근육 손상이 생겼을 때 혈액으로 AST가 방출되어 혈중 농도가 증가합니다. AST는 간염, 약물로 인한 간 독성, 간경변, 간손상을 발견하는데 유용한 검사로 ALT와 함께 간기능검사의 일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AST는 간 질환 이외에도 심장 및 골격근의 질환, 급성췌장염, 심장마비 등의 경우에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AST는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혈중 AST 농도의 정상범위는 0~40U/L입니다. 혈액검사의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결과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ASA: 아세틸살리실산

ASA는 Acetylsalicylic Acid의 약어로, 아세틸살리실산을 의미합니다. 아세틸살리실산은 흔히 아스피린이라고 불리는 약물로, 해열, 진통, 항염, 혈소판 응집 억제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아세틸살리실산은 살리실산과 아세트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살리실산은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할 수 있습니다.

아세틸살리실산은 두통, 치통, 월경통, 근육통, 관절통, 열, 감기 등에 사용되며, 저용량으로 복용하면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아세틸살리실산은 구강이나 정맥을 통해 투여할 수 있으며, 용량과 투여 방법은 증상과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세틸살리실산은 부작용으로 위장관 출혈, 알레르기 반응, 청력 저하, 신장 손상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복용해야 합니다.

APCT: 복부-골반 CT

APCT는 Abdomen-Pelvis CT의 약어로, 복부-골반 CT를 의미합니다. 복부-골반 CT는 복부와 골반의 기관과 조직을 X-선으로 촬영하여 층상 이미지로 만드는 검사입니다. 복부-골반 CT는 복부와 골반의 감염, 염증, 종양, 출혈, 손상, 기형 등의 질환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복부-골반 CT는 혈액검사, 요검사, 배변제 등의 준비가 필요할 수 있으며, 검사 전후에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복부-골반 CT는 X-선을 사용하므로, 임신 여부, 알레르기 여부, 신장 기능 등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

ACS: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ACS는 Acute Coronary Syndrome의 약어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이 협착되거나 폐쇄되어 심장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동맥경화증, 혈전, 동맥염 등의 원인으로 손상되거나 막힐 수 있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심근경색, 불안정형 협심증, 급성 심부전 등의 심각한 심장 질환을 포함하며, 심한 가슴 통증, 땀, 호흡곤란, 구토, 어지러움, 의식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응급상황으로 취급되어야 하며, 심전도, 혈액검사, 심장초음파, 관상동맥 조영술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치료는 산소공급, 진통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혈전 용해제, 혈관 확장제, 혈압 조절제, 심장 박동 조절제 등의 약물치료와, 관상동맥 확장술, 관상동맥 우회술, 심장 이식 등의 수술치료가 있습니다.

ACL: 전방십자인대

ACL은 Anterior Cruciate Ligament의 약어로, 전방십자인대를 의미합니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쪽에 있는 인대로, 대퇴골과 정강골을 연결하고, 무릎의 회전과 전후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방십자인대는 스포츠나 사고 등으로 인해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손상되거나 파열될 수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은 무릎의 통증, 부기, 불안정감,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의 진단은 의학적 검사, X-선, MRI, 관절경 등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전방십자인대의 치료는 손상의 정도와 환자의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존적인 치료로는 휴식, 냉찜질, 압박붕대, 진통제, 재활치료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인 치료로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있으며, 이는 다른 인대나 근육의 힘줄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를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전방십자인대의 예방은 스트레칭, 근력운동, 보호장구 착용, 안전한 운동 방법 등이 있습니다 .

APT: 급성 인두편도염

 APT는 Acute pharyngeal tonsilitis 또는 Acute pharyngotonsilitis의 약어로, 급성 인두편도염을 의미합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은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의 증상으로는 목의 통증, 삼키기 어려움, 열, 인두의 붓기, 편도의 홍반, 가래, 기침, 인후의 점막 등이 있습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의 진단은 의사의 검진, 인두 도말검사, 혈액검사, 편도 백신검사 등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의 치료는 증상의 원인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나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진통제, 해열제, 가글제, 편도절제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의 예방은 손씻기, 마스크 착용, 개인 위생, 면역력 강화, 감염자와의 접촉 피하기 등이 있습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FAQ

Q: 인공고관절치환술은 언제 필요한가요?

A: 인공고관절치환술은 고관절의 관절면이 심하게 손상되어 고통이 있고,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에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어떤 장점이 있나요?

A: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은 혈관 내부만을 선명하게 보여주므로, 혈관의 협착이나 폐쇄, 기형 등을 정확하게 진단하거나 치료할 수 있습니다.

Q: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는 왜 간기능검사에 포함되나요?

A: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는 간이나 담낭의 손상이나 폐쇄가 있을 때 혈중 농도가 증가하므로, 간기능검사에 포함되어 간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