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뜻, 익일 뜻, 차일 뜻, 금주 뜻, 내주 뜻 깔끔 정리

한국어에는 다양한 날짜 표현이 있습니다. 일, 주, 월 단위로 날짜를 표현하는 다양한 단어들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당일”은 어떤 일이 발생하는 날을 의미하고, “익일”은 내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날짜 표현들은 사용법이 다소 복잡하고, 한국인들조차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숙지가 필요합니다.

단어의미예시
이레일곱째 되는 날매달 초하룻날 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 날을 가리키는 7일
글피모레의 다음날(삼일 뒤)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글피는 10월 11일
명일오늘의 바로 다음 날(내일)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명일은 10월 9일
금일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오늘)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금일은 10월 8일
작일오늘의 바로 하루 전날(어제)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작일은 10월 7일
당일어떤 일이 발생하는 날ex) “놀이공원 입장권은 발행 당일만 유효합니다.”
익일어느 날 뒤에 오는 날(다음날/이틑날)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익일은 10월 9일
차일특정한 이 날다음주 목요일날 배송이 도착합니다. 차일 문앞에서 대기하여 주세요 => 목요일
금주이번 주예를 들어, “금주는 10월 4일(월)부터 10월 10일(토)까지입니다.
내주이 주의 바로 다음 주(다음 주)예를들어 오늘이 10월 11일(월요일)이라면, 내주는 10월 18일(화요일)부터 10월 24일(토요일)까지입니다.
차주이 주의 바로 다음 주(다음 주)“이번 주말까지 일을 하고 차주부터 휴가를 갑니다.” => 다음주
익월이달의 바로 다음 달(다음 달)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익월은 11월
내달이달의 바로 다음 달(다음 달)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내달은 11월입니다.
당월일이 있는 그달예를 들어, “당월 납품 일정은 2023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2023년 12월 31일까지

당일

당일 뜻

당일오늘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로는 當日이라고 쓰는데, 當(마땅할 당)과 日(날 일)을 합친 것입니다. 즉, “마땅히 있어야 할 날”이라는 뜻입니다.

당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당일 출발합니다.”, “당일 치기로 여행을 가겠습니다.”, “당일 결제 가능합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당일과 비슷한 표현으로는 “금일”과 “이날”이 있습니다. 금일은 “오늘”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당일보다 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날은 “오늘”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당일이나 금일보다 더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당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익일 뜻

익일은 내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로는 翌日이라고 쓰는데, 翌(다음 익)과 日(날 일)을 합친 것입니다. 즉, “다음 날”이라는 뜻입니다.

익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익일 귀국합니다.”, “익일 배송됩니다.”, “익일 회의가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익일과 비슷한 표현으로는 “내일날”과 “다음날”이 있습니다. 내일날은 “내일”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익일보다 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음날은 “내일”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익일보다 더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익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일 뜻

차일은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로는 此日이라고 쓰는데, 此(이 차)와 日(날 일)을 합친 것입니다. 즉, “바로 이 날”이라는 뜻입니다.

차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은 아니지만, 문어체나 고어에서는 흔히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차일은 비가 올 것 같습니다.”, “차일 오전에 회의가 있습니다.”, “차일 저녁에 식사하러 가겠습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차일과 비슷한 표현으로는 “오늘”과 “금일”이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지금 이 날”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차일보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금일은 “바로 지금 이 날”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지만, 차일이나 오늘보다 더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차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은 아니지만, 문어체나 고어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일과 관련된 한자성어로는 “차일피일 미루다”가 있습니다. 이 말은 “오늘, 내일 미루다”라는 뜻으로, 일을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금주 뜻

금주는 이번 주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로는 今週이라고 쓰는데, 今(지금 금)과 週(주 주)를 합친 것입니다. 즉, “지금 이 주”라는 뜻입니다.

금주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금주 내로 작업을 완료해야 합니다.”, “금주에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금주에 회의가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금주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이번주”가 있습니다. 이번주는 금주와 같은 뜻이지만,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금주”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주와 관련된 한자성어로는 “금주 금일”이 있습니다. 이 말은 “이번 주 이번 날”이라는 뜻으로, 오늘 이 주를 말하는 것입니다.

내주 뜻

내주는 다음 주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로는 來週이라고 쓰는데, 來(올 내)와 週(주 주)를 합친 것입니다. 즉, “다음 이 주”라는 뜻입니다.

내주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내주에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내주에 회의가 있습니다.”, “내주에 과제 제출 기한입니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내주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다음주”가 있습니다. 다음주는 내주와 같은 뜻이지만,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내주”는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주와 관련된 한자성어로는 “내주 금일”이 있습니다. 이 말은 “다음 주 이번 날”이라는 뜻으로, 다음 주 오늘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

“내주”는 다음 주를 뜻하는 표현이지만, “다음주”는 다음 주에 일어날 일이나 사건을 뜻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주에 시험이 있습니다.”라는 문장은 “다음 주에 시험이 치러집니다.”라는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주”와 “다음주”의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AQ

Q: 당일은 무슨 뜻인가요?

A: 오늘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익일은 무슨 뜻인가요?

A: 내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차일은 무슨 뜻인가요?

A: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금주는 무슨 뜻인가요?

A: 이번 주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내주는 무슨 뜻인가요?

A: 다음 주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