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에는 다양한 날짜 표현이 있습니다. 일, 주, 월 단위로 날짜를 표현하는 다양한 단어들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레”는 일곱째 되는날을 의미하고, “금일”은 오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날짜 표현들은 사용법이 다소 복잡하고, 한국인들조차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표현들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숙지가 필요합니다.
단어 | 의미 | 예시 |
---|---|---|
이레 | 일곱째 되는 날 | 매달 초하룻날 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 날을 가리키는 7일 |
글피 | 모레의 다음날(삼일 뒤)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글피는 10월 11일 |
명일 | 오늘의 바로 다음 날(내일)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명일은 10월 9일 |
금일 |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오늘)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금일은 10월 8일 |
작일 | 오늘의 바로 하루 전날(어제)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작일은 10월 7일 |
당일 | 어떤 일이 발생하는 날 | ex) “놀이공원 입장권은 발행 당일만 유효합니다.” |
익일 | 어느 날 뒤에 오는 날(다음날/이틑날)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익일은 10월 9일 |
차일 | 특정한 이 날 | 다음주 목요일날 배송이 도착합니다. 차일 문앞에서 대기하여 주세요 => 목요일 |
금주 | 이번 주 | 예를 들어, “금주는 10월 4일(월)부터 10월 10일(토)까지입니다. |
내주 | 이 주의 바로 다음 주(다음 주) | 예를들어 오늘이 10월 11일(월요일)이라면, 내주는 10월 18일(화요일)부터 10월 24일(토요일)까지입니다. |
차주 | 이 주의 바로 다음 주(다음 주) | “이번 주말까지 일을 하고 차주부터 휴가를 갑니다.” => 다음주 |
익월 | 이달의 바로 다음 달(다음 달)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익월은 11월 |
내달 | 이달의 바로 다음 달(다음 달) | 오늘이 10월 8일이라면, 내달은 11월입니다. |
당월 | 일이 있는 그달 | 예를 들어, “당월 납품 일정은 2023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2023년 12월 31일까지 |
글피 뜻
글피는 삼일(三日) 뒤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입니다. 오늘이 2023년 12월 8일 화요일이라면, 글피는 12월 11일 목요일을 의미합니다.
글피는 내일과는 달리 비교적 덜 쓰이는 편입니다. 이는 근대 이후에 서양의 시간 개념이 도입되면서, 내일과 모레를 기준으로 삼일, 사일, 오일, 등으로 일수를 세는 방식이 보편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영서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등에서는 글페 혹은 그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동남 방언, 영동 방언으로는 ‘저모레’라고도 합니다.
다음은 글피를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이번 주말에 글피에 놀러 가기로 했어.”
“이 서류는 글피까지 완료해야 해.”
“글피면 시험이 끝나네.”
이레 뜻
일수 | 순우리말 |
---|---|
1일 | 하루 |
2일 | 이틀 |
3일 | 사흘 |
4일 | 나흘 |
5일 | 닷새 |
6일 | 엿새 |
7일 | 이레 |
8일 | 여드레 |
9일 | 아흐레 |
10일 | 열흘 |
15일 | 보름 |
20일 | 스무날 |
21일 | 세이레 |
30일 | 서른날 |
매월 말일 | 그믐 |
이레는 순우리말로, 일곱 날을 의미합니다. 또한, 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 날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레는 일주일의 기간을 나타내는 말로, 주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주에 여행을 갈 거야.”라고 말할 때, “이번 이레에 여행을 갈 거야.”라고 말해도 같은 뜻입니다.
다음은 이레를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이번 이레에 시험이 있어요.”
“이번 이레에 휴가가 있어요.”
“이번 이레에 날씨가 좋아요.”
명일 뜻
명일은 순우리말로, 내일을 의미합니다. 한자어로는 明日라고 합니다.
명일은 오늘의 바로 다음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이 2023년 12월 8일 화요일이라면, 명일은 12월 9일 수요일을 의미합니다.
명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명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해요.”와 같이 약속이나 일정을 표현할 때, “명일은 휴일이니까 놀러 가자.”와 같이 계획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명일을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명일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해요.”
“명일은 휴일이니까 놀러 가자.”
“명일은 시험이니까 공부해야지.”
“명일은 날씨가 좋다고 하니 산책을 가자.”
금일 뜻
금일은 순우리말로, 오늘을 의미합니다. 한자어로는 今日라고 합니다.
금일은 지금 현재 지나고 있는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이 2023년 12월 8일 화요일이라면, 금일은 12월 8일 화요일을 의미합니다.
금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일은 회의가 있습니다.”와 같이 일정을 표현할 때, “금일은 날씨가 좋아서 산책을 갔어요.”와 같이 일상적인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금일을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금일은 회의가 있습니다.”
“금일은 날씨가 좋아서 산책을 갔어요.”
“금일은 시험이 있어서 공부를 해야지.”
“금일은 친구들과 만나기로 했어요.”
작일 뜻
작일은 어제를 의미하는 순우리말입니다. 한자어로는 昨日라고 합니다.
작일은 오늘의 바로 전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이 2023년 12월 9일 수요일이라면, 작일은 12월 8일 화요일을 의미합니다.
작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일에 있었던 일은 다음에 이야기해요.”와 같이 지난 일을 표현할 때, “작일에 비가 많이 왔어요.”와 같이 날씨를 표현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작일을 사용하는 예시입니다.
“작일에 있었던 일은 다음에 이야기해요.”
“작일에 비가 많이 왔어요.”
“작일에 시험을 봤어요.”
“작일에 친구들과 만났어요.”
FAQ
Q: 글피는 무슨 뜻인가요?
A: 삼일 뒤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이레는 무슨 뜻인가요?
A: 일곱 날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명일은 무슨 뜻인가요?
A: 내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금일은 무슨 뜻인가요?
A: 오늘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Q: 작일은 무슨 뜻인가요?
A: 어제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